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티엘비 주가 분석: SOCAMM 수혜주, 지금은 매수할 때일까?

by TO BE CEO 2025. 3. 26.
반응형

2025년 반도체 산업에서 주목받는 키워드는 바로 SOCAMM, CXL, LPCAMM입니다. 이 가운데 **티엘비(TLB)**는 차세대 반도체 모듈 성장 수혜주로 부각되며 최근 주가 급등을 경험했습니다. 하지만 현재 주가는 이미 많은 기대를 선반영한 상태입니다. 과연 지금은 매수해야 할 때일까요, 아니면 차익을 실현해야 할 시점일까요?

2024년 4분기 실적: SOCAMM 관련 기대감은 현실이 되었는가?

티엘비는 2024년 4분기 기준 매출 498억원, 영업이익 9.1억원, 순이익 16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기존 추정치를 상회한 실적이며, SOCAMM과 CXL 제품군의 초기 성과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됩니다.

티엘비 4분기 실적 요약표

구분수치전기 대비(QoQ)전년 대비(YoY)
매출 498억 원 +7.2% +3.5%
영업이익 9.1억 원 -67.2% -20.8%
당기순이익 16억 원 +102% +212%

※ 일회성 성과급 약 12억원을 반영한 수치

고부가 서버향 DDR5 모듈 및 eSSD 모듈 비중 증가로 인한 실적 방어가 핵심입니다.

 

2025년 실적 전망: CXL, LPCAMM 본격 개화 기대

티엘비는 2025년 매출 1,986억원(+10.3%), 영업이익 122억원(+264%)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AI 인프라 투자 확대와 함께 서버용 DDR5 및 eSSD 모듈 매출 증가, 평균판매단가(ASP) 상승 등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특히 CXL, LPCAMM, MR-DIMM과 같은 차세대 제품이 2025년부터 본격 매출로 이어진다면, 추가적인 실적 상향 여지가 있습니다.

SOCAMM 관련 실체는? 과대 기대일까, 진짜 수혜일까

티엘비는 최근 SOCAMM 대장주로 주목받으며 급등했지만, 실제로는 SK하이닉스만을 주요 고객으로 SOCAMM 제품을 개발 중입니다. 마이크론의 경우 심텍, 코써, 티엘비 3사가 물량을 나눠 공급 중이며, 삼성전자와의 협력은 확인된 바 없습니다.

 

SOCAMM-구조도
SOCAMM-구조도

SOCAMM 관련 질의응답 요약

항목내용
현재 개발 상태 SK하이닉스 요청으로 개발 중, 하반기 양산 가능성 있음
경쟁사와의 관계 마이크론향은 3사 분담 공급
적용 분야 소형 IT기기, 하이엔드 서버 등 고부가 제품군
본격 실적 반영 시점 2025년 이후 예상

SOCAMM은 기존 DIMM과 달리 온보드 구조로, 소형 폼팩터를 지닌 고성능 서버 및 노트북 등에 적합한 제품입니다. 하지만 아직은 시장 개화 초입 단계로 실적 연동까지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현재 주가, 과도한 선반영? 투자 판단 포인트

현재 티엘비는 예상 영업이익 150억원 기준으로 PER 15배 이상을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SOCAMM, CXL 등 차세대 제품 매출이 본격화되기 전임을 감안하면 주가 부담이 존재합니다. 박스권을 돌파하긴 했지만 추가 상승을 위해서는 실적이라는 증거가 필요합니다.

투자 포인트 요약

기대 요인

  • 서버향 DDR5, eSSD 고부가 모듈 중심 매출 구조
  • CXL, LPCAMM 등 차세대 모듈 시장 성장
  • SK하이닉스와의 협업 지속

리스크 요인

  • SOCAMM 실적 연동 시점은 2025년 이후
  • PER 15배 이상으로 밸류 부담
  • 실적 확인 전까지 주가 등락성 높음

결론: 티엘비, 중장기적 성장은 기대되나 단기 조정도 염두

티엘비는 명확한 성장 동력을 갖춘 반도체 부품주입니다. 특히 SOCAMM, CXL과 같은 차세대 모듈 시장의 개화는 실적 차별화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 요인이 될 것입니다. 하지만 단기적으로는 이미 상당한 기대가 주가에 선반영된 상태로, 매수보다는 비중 조절 혹은 차익 실현 전략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향후 실적 발표를 통해 실체가 입증된다면 새로운 상승 랠리가 기대되지만, 그 전까지는 보수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본 글은 투자 권유가 아닌 참고용이며, 투자 판단은 본인 책임입니다.

반응형

댓글